본문 바로가기
Human Robot Interaction

[The New Breed] 0. HRI 생각과 시작

by interactics 2022. 4. 16.

 

2018년인가, 우연히 보게된 유튜브 영상이 있었다.

 

MIT 미디어 랩에서 로봇 윤리와 정책을 연구하는 케이트 달링의 영상이다.

What Are the Rules of Human-Robot Interaction?

https://www.youtube.com/watch?v=k7NNK-nQquo 

로봇공학 중에서 나의 주 관심 분야는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인데,

위 영상은 그 당시 막연하게만 생각하던 HRI적 사고를 단단하게 해주었다.

 

영상의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하자면, "로봇은 동물과도 같다" 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여러 근거들을 인용하는데, 

- 로봇은 물리적인 형체를 가지며 움직인다는 점.

- 교육용 및 치유용 로봇처럼 로봇의 행동이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 가끔은 사람들은 로봇을 기계보다는 생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이다. 

 

영상을 전체적으로 재미있게 봤는데, 내용들 중 가장 흥미있던 부분은 로봇이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처럼 로봇은 거꾸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라는 내용이다.

 

"로봇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생물과의 상호작용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로봇에게 악의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결국 인간에게 악의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로봇 학대는 결국 사람 학대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로봇공학이 고도화되기 전인 이 시기에 윤리나 철학같은 아직은 뜬 구름같은 이야기지만, 로봇공학을 하는 사람으로서 기술이 대중화될 때, 이 문제가 대두되도록 만들고 싶지는 않았다. 어떤 공학자가 사회나 문화적으로 나쁜 영향을 주는 제품을 만들고 싶을까?

사전에 부정적 부분을 미리 제거하면 좋을텐데.

 

따라서 케이트 달링의 영상은 크게 와닿았고, 이후로도 인간에게 부정 영향을 제거하려는 생각은 나의 공학과 개발의 마인드에서 하나의 큰 부분이 되었다.

 

케이트 달링의 저서가 없어 연구 내용으로만 인사이트를 얻었는데,  최근 다행히도 <The new breed> 라는 책을 내서 하나를 구매했다.

근데 이를 독서로만 하는 것은 좀 아까워 정리하는 목적으로도 글을 조금씩 적어보려고 한다. 

 

https://www.amazon.com/New-Breed-History-Animals-Reveals/dp/1250296102

 

Amazon.com

Enter the characters you see below Sorry, we just need to make sure you're not a robot. For best results, please make sure your browser is accepting cookies.

www.amazon.com

 

'Human Robot Intera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에 대한 반응  (0) 2022.10.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