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NASA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핸드북 스터디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NASA SYSTEMS ENGINEERING HANDBOOK이란
https://www.nasa.gov/reference/systems-engineering-handbook/
Systems Engineering Handbook - NASA
Since the initial writing of NASA/SP-6105 in 1995 and the following revision (Rev 1) in 2007, systems engineering as a discipline at the National Aeronautics
www.nasa.gov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NASA에서 적용 방법에 대한 안내서로서, NASA의 크고 작은 프로젝트의 개발과 운용에 적용하는 방법을 가이드합니다.
Systems Engineering?
시스템 엔지니어링은 시스템을 설계, 구현, 기술 분야에 대한 관리, 운용 그리고 마무리를 하는 구조적이고 다학제적인 방법론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시스템은 어떠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여러 요소(Element)들의 결합체를 의미합니다. 요소란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될 수도 있으며, 장비나 그것을 다루는 인적 자원 뿐만 아니라 과정 혹은 절차도 포함합니다..
이런 요소들이 합쳐져 시스템 레벨의 결과물(Results)로 이어지는데, 결과물에는 시스템 레벨의 품질, 특성, 기능, 행위, 퍼포먼스가 포함됩니다.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특징
공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아이러니한 상황에서 공학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로 로봇을 작게 만들어야하지만, 구조물 안에 들어가야하는 부품들은 많다든가, 많은 기능을 수행해야하지만 예산은 한정되어있다든가 등 제약조건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엔지니어링을 하는 것이 공학자의 일상이죠. 시스템 엔지니어링은 이러한 반대되는 이해관계들 속에서 공학기술들이 최대한 요구사항들을 만족할 수 있도록 균형 잡히고 최적화된 설계를 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즉, 시스템 엔지니어링은 시스템이 소수의 요구에만 편협하게 집중되는 것을 막고, 균형있게 시스템이 발전하는 것을 돕습니다.
시스템 엔지니어(Systems Engineer)
시스템 엔지니어는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통해 시스템이 균형있게 설계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국내 기업에선 일반적으로 테크리더들이 수행하는 경우를 많아 별도의 직무로 보는 것은 조금 어렵죠. 물론 해외도 크게 다르지 않지만, 찾아본다면 일반적으로 로보틱스, 자동차, 국방, 항공 및 우주 산업의 업체에 별도로 시스템 엔지니어라는 직군이 존재하는 것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시스템 엔지니어의 업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다음의 업무들이 있습니다. 운영의 컨셉 개발,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시스템의 경계 정의, 요구사항 정의와 배치, 트레이드-오프 설계 평가, 시스템 간의 기술적 위험 밸런싱, 인터페이스 정의와 평가, 그리고 개발 전체에 대한 평가와 타당성 검증(Validation & Verification) 수행입니다.. 이런 업무와 더불어 기술과 관련된 계획을 짜고, 요구사항과 사양에 대한 문서 작성, 평가와 타당성 검증에 대한 문서 작성, 인증 등 문서화에 대한 책임도 가집니다.
즉, 시스템 엔지니어링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혹은 엔지니어들과 같은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매니저와 시스템 엔지니어의 차이점
일부 기업에서는 PM이 시스템 엔지니어의 역할도 겸하는 경우가 많아 시스템 엔지니어와 프로젝트 매니저와 차이가 없다라는 것을 느끼시는 분들도 있을겁니다. NASA의 경우, 프로젝트 매니저는 PP&C(Project Planning & Control)라는 그룹에 속하고 시스템 엔지니어들은 SE 그룹에 속하여 업무를 수행합니다.
프로젝트 관리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성됩니다.
- 기술적 양상에 대한 관리
- 프로젝트 팀에 대한 관리
- 비용과 일정에 대한 관리
시스템 엔지니어링은 위 요소 중 주로 기술과 관련된 예산, 일정에 대한 의사결정에 집중하고, 프로젝트 매니저들은 전체적인 예산을 정하고 일정을 제어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아래에서 SE와 PP&C의 차이를 도표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obot > 시스템 엔지니어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엔지니어링] 요구 사항을 잘 쓰는 방법 (0) | 2023.12.03 |
---|---|
[시스템 엔지니어링] 트레이드 스터디(Trade Studies) (0) | 2023.11.26 |
[시스템 엔지니어링] 비용 효율성에 대한 고려 사항 (0) | 2023.11.25 |
[시스템 엔지니어링] Verification과 Validation의 차이 (0) | 2023.11.22 |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적 프로세스와 SE 엔진 (0) | 2023.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