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obot/전기전자

[배터리] 리튬배터리 화재와 소화

by interactics 2022. 3. 20.

결론

리튬 배터리 화재는 D급 소화기로 못 잡습니다. 왜냐하면 리튬 배터리는 금속 화재가 아니니까요.

산소 차단하는 질식 소화해야합니다. 

 

리튬 배터리..?

 

로봇 제작을 하다보면 가장 무섭게 느껴지는게 배터리입니다.

 

일반적으로 로봇을 만들 때 리튬이온배터리 Li-ion과 리튬 폴리머 Li-Po 이 두 종류를 효율도 좋고 구하기도 쉬우니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런 리튬계 배터리는 폭발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죠. 

 

18650 배터리... 다 좋은데 리튬이라 문제

 

배터리 안에는 BMS라고 해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과방전, 과충전을 막아 특이상황이 나타날 확률을 줄여주지만,
항상 문제는 예외상황에서 발생하는 거닌까요.

 

그래서 혹시 모르는 상황에서 배터리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소화기를 구비해놓는데,
많은 분들이 잘못 아는 부분이 리튬 배터리 화재를 D급(금속화재) 소화기혹은 CO2소화기로 잡을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소화기는 화재에 따라 A,B,C,D, K 급으로 분류합니다.

A - 목재, 섬유 등의 일반화재, B - 유류로 인한 화재, C- 전기로 인한 화재, D- 리튬, 칼륨, 마그네슘 등의 가연성 금속 화재

 

리튬 금속 화재는 D급 화재가 맞습니다.하지만 리튬 배터리는 금속 화재가 아니라서 D급 소화기로 소화가 되지 않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와 리튬폴리머 배터리는 금속성 리튬이 함유하지 않아 적합하지 않습니다.

 

NASA의 리튬 배터리가 폭발한 사례

https://www.youtube.com/watch?v=JECJAgRsp-4&t=68s 

D급 소화기나 CO2소화기는 효과가 없습니다.

따라서 리튬 배터리로 인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리튬 배터리용 소화기를 사용해야하는 데, 가격이 만만치 않고요.

그럼 무엇으로 꺼야하는가?

그래서 어떻게 끄라고?

질식으로 소화해야합니다. 공기와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해야하는 거죠.

질식소화라고 하지만 반응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전기자동차 화재는 반응이 끝날 때까지 저렇게 물에 담급니다. http://www.ikbn.news/mobile/article.html?no=129873 

리튬이온 배터리는 불이 꺼진다고 해도 위의 영상처럼 불이 계속 폭발적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질식 소화를 하기 위해 철 쓰레기통에 넣어놓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물을 넣은 철 쓰레기통에 리튬 배터리를 쏘옥

리튬 배터리는 보통 30분 정도 반응을 보이는데, 넣고 소화를 진행하시고 온도가 100도 아래로 떨어지면,
물에 담근채로 하루정도 보낸 후 처리하면 됩니다. 이때 물에 넣으면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니 유의해주세요.

 

 

방염 질식포

배터리만 별도로 분리된 상태에서 화재가 나면 위같은 행동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로봇과 기계에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 배터리를 제거하는 것이 어려운데, 이를 대비하여 방염 질식포를 구비해놓는 것도 좋습니다.

 

기계 전체를 질식포로 덮어 소화를 진행하면 됩니다. 

 

기타

배터리를 보관하거나 충전할 때에는 배터리 가방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Lipo Safe bag이라 검색하면 이런게 여러개 나옵니다.

 

읽으면 좋을 것들 

https://resources.impactfireservices.com/how-do-you-put-out-lithium-ion-battery-fire

https://m.blog.naver.com/feublot/221658017517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B급 화재이다

최근 들어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물건이나 이동수단 등의 화재가 늘어나면서 많은 화재예방요령이 언...

blog.naver.com

 

댓글